<블로그 등에 전재로 퍼가지 마시고 꼭 필요하다면 링크하시기 바랍니다. 상업적 컨텐츠이며 법적 보호를 받습니다.
그리고 내용 등이 필요에 따라 수정되거나 바뀔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필름사진은 디지털사진과 달라서 찍었다고 바로 사진이 나오지 않습니다. 필름으로 촬영하셨다면 꼭 현상을 해야만
사진이 나오는데요, 그래도 과정과 용어들이 복잡해서 약간은 어리둥절하거나 혼란스러울 수도 있으실 겁니다.
그런 분들을 위해서 이 글을 적어보았습니다.
처음 오셔서 무엇을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시겠다면 천천히 한번 읽어봐주세요. ^^
우선 '현상'입니다. 필름으로 사진을 찍으면 현상을 해야 한다고 하는데, 세간에서는 현상한다고 하면 사진을 뽑아오는 것까지 다 그냥
뭉뚱그려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지만, 정확히 구분하자면 그게 또 다릅니다. 필름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처리됩니다.
촬영된 필름 -> 현상 -> (스캔) -> (인화)
현상은 촬영한 필름을 약품으로 처리해서 눈으로 볼 수 있게 해주는 과정입니다. 디카로 찍는 사진과 달라서 필름은
찍고 필름을 빼본다고 사진이 눈에 보이는 게 아닙니다. (호기심에라도 필름을 빼보면 빛만 다 먹어버리죠) 필름에
찍혀 있는 사진을 실제 눈으로 볼 수 있는 형태로 드러나게 하려면 빛이 없는 곳에서 약품으로 처리해야만 합니다.
이 과정을 현상(develop)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포토마루에 오셔서 '현상만 해주세요'라고 하시면 '현상된 필름'만
돌려받으시게 됩니다. 그래서 '현상만'은 꽤 저렴하죠. 돌려받으시는 건 아래 그림과 같은 필름입니다.

'현상만'의 결과물은 필름만입니다.
이렇게 현상이 되어야 필름으로 그 다음 과정을 진행할 수가 있습니다. 직접 스캔이나 인화를 하신다면 필름을 가져
가셔도 되고, 포토마루에 스캔이나 인화를 맡기신다면 이렇게 필름을 본 후 주문하셔도 되지만 처음 주문하실 때 전
과정을 한번에 주문하시는 게 저렴하고 효율적이죠.
그러니까 이제 이 글을 읽고 이해가 되신 분들은 '저는 현상은 필요없고 스캔만 하려구요'라든가 하는 말씀은 하지
않으시리라 생각합니다. ^^;
현상 -> (스캔) -> (인화)라고 (스캔)과 (인화)에 괄호를 쳐 두었는데, 그 이유는 할 수도 있고 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인데요,
스캔(scan)은 필름을 스캐너로 읽어들여서 컴퓨터에서 볼 수 있는 이미지(주로 jpg파일)를 만드는 과정을 말합니다.
디지털카메라가 나오기 전에는 사진은 필름으로만 찍을 수 있었고 일단 찍었으면 사진관에 가져가서 사진들을 뽑아
야만 했습니다. 그런데 디카가 나온 뒤에는 종이 사진을 뽑지 않아도 컴퓨터로 사진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종이사진으로 뽑는 것(인화)은 그 다음의 순서가 된 것이죠.
필름도 마찬가지 과정으로 바뀌었습니다. 필름으로 찍고, 현상한 다음 스캔을 거치면 디카로 찍은 것처럼 사진을
이미지로 얻어 컴퓨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이미지로 종이사진을 뽑으면(인화) 됩니다. 물론 종이
사진이 필요없다면 스캔되어 만들어진 jpg 사진만으로 웹에도 올리고 인스타에도 올리고 페북에도 트위터에도
올리고 블로그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종이로 굳이 뽑지 않아도 되고, 필요하다면 나중에 잘 나온 것들만 따로
모아 뽑거나 확대를 해도 됩니다.
그래서 많은 분들이 필름으로 사진을 찍으면 필름을 맡기실 때 현상+스캔을 주문하시는 것이죠.
현상+스캔을 주문하시면 포토마루의 경우 찍으신 사진들을 스캔해서 24컷 혹은 36컷(혹은 그보다 많거나 적을 수도)의
jpg 이미지들을 저희 마루스캔에 올려드리고 다운로드받으실 수 있게 해드립니다. 필름을 맡기고 기다렸다가 찾아가시는
게 아니라 맡기기만 하시면 사진은 집에서 웹이나 스마트폰을 통해 직접 브라우징하거나 다운받으실 수 있구요, 필름은
다음번 주문때 찾아가시거나 혹은 택배로 받으셔도 됩니다. 포토마루 기준으로는 필름을 약 1년간 보관해드리니 천천히
찾아가셔도 됩니다. 혹시 그런 것조차 필요하지 않으시다면 '폐기'를 요청하시면 작업후 1주일간 보관하다가 폐기합니다.
(스캔)다음에 (인화)에 괄호를 쳐 둔 이유는 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종이사진으로 인화(印畵, print)하면 컴퓨터로 보는 것과는 또 다른 사진이 만들어집니다. 스캔된 이미지가 디지털이니까
디카로 찍은 것과 비슷하지 않겠냐고 생각하실 수도 있지만 소스(source)가 필름이라서 디카로 찍은 것과는 전혀 다른
사진이 만들어집니다. mp3로 들어도 현악기의 선율과 전자기타의 디스토션이 전혀 다른 것처럼 말입니다.
스캔된 이미지로 인화할 수 있는데, 이 때는 스캔된 이미지의 해상도가 인화할 수 있는 사이즈의 기준이자 한계가 됩니다.
포토마루의 경우 기본스캔(2300x1500픽셀)으로는 가장 작은 4x6인치에서 좀 무리하면 8x10인치까지의 사진을 뽑을 수
있습니다.
나중에 사진이 잘 나와서 좀더 크게 확대해야겠다고 할 때에는 이미지가 아니라 해당 필름을 가지고 오셔서 확대인화를
주문하시면 됩니다.
물론 이렇게 필름을 다시 가져와 주문하는 불편도 없애고 좀더 고화질의 사진들을 얻으려면 스캔 해상도를 고해상도
(3600x2400)나 TIFF스캔 혹은 가상드럼스캔으로 주문하시면 됩니다. TIFF로 스캔하시면 약 12x18인치 까지도 뽑을 수
있었습니다. 더 큰 사진을 뽑으시려면 가상드럼스캔을 용량에 따라 주문하시면 됩니다.
그런데 나중에 골라서 뽑겠다는 게 생각처럼 잘 안 되기도 합니다. 미루고 미루다가 결국 안 뽑게 되는 일이 많거든요.
그래서 애초부터 모두 다 뽑아드리는 옵션(현상+스캔+인화)을 '패키지' 혹은 '모두인화' 혹은 '롤전체 인화'같은
이름으로 따로 만들어 두었습니다. 요즘은 인화를 하기 위해서는 스캔과정을 거치게 되는데요, 스캔할 때 동시에
인화작업까지 진행하면 작업이 매우 효율적이라 가격을 저렴하게 하였습니다.
그래서 현상+스캔을 주문할 때 인화패키지를 선택하면 현상+스캔 가격에 롤인화가격만 추가하면 일단 나온
사진들은 모두 뽑아드리게 됩니다.
간혹 이 과정에서 '난 스캔은 필요없고 현상이랑 사진만 필요한데'와 라고 생각하셔서 현상가격에 인화가격만
계산하시는 분들이 계시기도 합니다만 과정상 그렇게 되지는 않습니다. ^^;
그러니까, 주문하실 때
1. 스캔이나 인화는 내가 직접 하겠다- 현상만 주문: 필름만 돌려받음
2. 현상+스캔(혹은 현상+롤스캔)을 주문하면: 현상된 필름과 스캔된 이미지들을 돌려받음
3. 현상+스캔+인화까지: 필름과 이미지와 뽑은 종이사진까지 한꺼번에 받음중에서 고르시면 됩니다. (보통은 2번을 가장 많이 고르십니다.)
그래서 문의하실 때 '필름 현상해주세요'라고 하시면 저희는 재차
'현상만 하시면 필름만 드립니다'라고
확인해드리거나 하게 됩니다.
현상, 스캔, 인화를 구분하시는 게 중요하고, 순서와 특성을 이해하시는 것도 중요합니다.
그리고, 보통의 필름은 135필름 혹은 35mm 필름이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가격표에서는 135를 찾아보시면 됩니다.
중형필름은 120이라고 부르니까 가격표에서도 따로 있습니다.
이제 가격표를 다시 한번 살펴봐보세요. 복잡하지만 나름 구분이 잘 되어 있음을 아실 수 있을 겁니다. ^^;
옛날에 찍어서 이미 다섯 컷 혹은 여섯 컷 단위로 잘라져서 저 위의 사진처럼 비닐에 넣어져 있는 필름은 이미 현상이
되어 있는 필름이라 스캔 혹은 인화만 하면 됩니다. 이 때에는 작업하는 방식도 달라져서 주문하시는 단위도 달라집니다.
이미 현상이 되어 필름만 보관하는 경우는 대개 이런 식으로 되어 있으실텐데요,

이렇게 되어 있는 필름의 한 줄 한 줄을 '스트립'(strip)이라고 부릅니다. 그러니까 한 줄 단위로 가격이 매겨지는 것이죠.
가격표에는 스트립 단위의 스캔 가격이 나와 있습니다. 가격을 매길 때에는 한두 컷만 붙어 있는 스트립은 세지 않습니다.
따라서 위의 그림의 필름을 모두 스캔하면 6개의 스트립을 스캔하는 요금이 됩니다. 혹 필요하지 않은 스트립은 제외해도
되니까 요금은 조금 더 저렴해질 수도 있습니다.
한 컷 한 컷 단위로 스캔하는 경우는 컷 스캔 요금이 따로 나와 있구요(한 컷 단위일 경우는 고해상 혹은 가상드럼
스캔이 적용됩니다).
이 정도만 아셔도 주문하시는 데에 어느 정도는 자신이 생기셨으리라 생각합니다. 더 궁금한 게 있으시다면 전화주세요. ^^